573 0 0 0 0 0 5년전 0

東醫寶鑑 東醫壽世保元 全

동의보감 동의수세보원 통합단행본

東醫寶鑑 허준(許浚, 1546∼1615) 등이 지은 한의학에 대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서, 1610년(광해군 2)에 편찬을 완성하고 1613년(광해군 5)에 목활자인 내의원자로 간행한 책이다. 『동의보감』은 25권 25책이 완질본이다. 내용은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잡병편, 약방 관계의 탕액편(湯液篇), 침구편으로 되어 있다. 각 편마다 여러 항목이 있고, 또 각 항목마다 소제목들과 단방(單方), 침구법(針灸法)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완질본이 아닌 3권 3책의 결본으로, 내경편 2권, 외형편 1권, 침구편 등 3권 3책만 포함하고 있다. 1596년(선조 29) 선조의 명으로 허준·정작(鄭碏)·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이명원(李命源)·정예남(鄭禮..
東醫寶鑑

허준(許浚, 1546∼1615) 등이 지은 한의학에 대한 임상의학 백과사전으로서, 1610년(광해군 2)에 편찬을 완성하고 1613년(광해군 5)에 목활자인 내의원자로 간행한 책이다.
『동의보감』은 25권 25책이 완질본이다. 내용은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잡병편, 약방 관계의 탕액편(湯液篇), 침구편으로 되어 있다. 각 편마다 여러 항목이 있고, 또 각 항목마다 소제목들과 단방(單方), 침구법(針灸法)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완질본이 아닌 3권 3책의 결본으로, 내경편 2권, 외형편 1권, 침구편 등 3권 3책만 포함하고 있다.

1596년(선조 29) 선조의 명으로 허준·정작(鄭碏)·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이명원(李命源)·정예남(鄭禮男) 등이 우리나라 의사들에게 필요한 보다 간략하면서도 실제 의료기술에 필요한 의서로서 편찬하기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1597년 정유재란을 맞아 중단했던 것을 전쟁이 끝난 후 허준이 혼자 다시 편찬하여 1610년 완성했다. 정작은 승려의사로 권위가 있었으며 양예수는 그당시 조선의 의사들이 존중한 〈의림촬요 醫林撮要〉 13권을 교정한 경험이 있는 의사였다.

〈동의보감〉은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의서는 물론, 중국에서 수입된 의서까지 모두 활용해서 편찬한 것으로, 병증(病症)을 중심으로 한 병문(病門)으로 나누지 않고 현대적 분류방법과 비슷하게 병증과 치료방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내경편(內景篇)은 신형(身形)·정(精)·기(氣)·신(神)·혈(血)·몽(夢)·성음(聲音)·언어(言語)·진액(津液)·담음(痰飮)·오장육부(五臟六腑)·간(肝)·심(心)·비(脾)·폐(肺)·신장(腎臟)·담(膽)·위(胃)·소장(小腸)·대장(大腸)·방광(膀胱)·삼초부(三焦腑)·포(胞)·충(蟲)·대변(大便)·소변(小便)·수양(修養)·양노(養老) 등으로 주로 내과의 질병을 들었다.

외형편(外形篇)은 두(頭)·면(面)·안(眼)·이(耳)·비(鼻)·인후(咽喉)·두항(頭項)·배(背)·흉(胸)·유(乳)·복(腹)·제(臍)·요(腰)·협(脇)·피(皮)·육(肉)·맥(脉)·근(筋)·골(骨)·수(手)·족(足)·모발(毛髮)·전음(前陰)·후음(後陰) 등으로 주로 외과의 질병을 들었다. 잡병편(雜病篇)은 천지운기(天地運氣)·심병(審病)·변증(辨證)·진맥(診脈)·용약(用藥)·토(吐)·한(汗)·하(下)·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내상(內傷)·허로(虛勞)·곽란·구토(嘔吐)·해수(咳嗽)·적취(積聚)·부종(浮腫)·장만(脹滿)·소갈(消渴)·황달(黃疸)·해학(匐)·온역(瘟疫)·사숭(邪崇)·옹저(癰疽)·제창(諸瘡)·해독(解毒)·구급(救急)·괴질(怪疾)·잡방(雜方)·부인(婦人)·소아(小兒) 등이다.

병리와 진단방법으로 보아 내과와 외과에 속하지 않은 여러 가지 병증을 다루었다. 특히 부인과와 소아과가 있다. 탕액편(湯液篇)은 탕액서례(湯液序例)·수부(水部)·토부(土部)·곡부(穀部)·인부(人部)·금부(禽部)·수부(獸部)·어부(魚部)·충부(蟲部)·과부(果部)·채부(菜部)·초부(草部)·목부(木部)·옥부(玉部)·석부(石部)·금부(金部) 등이다.

주로 약물에 관한 지식을 열거했다. 침구편(鍼灸篇)은 침을 놓는 데 필요한 경혈(徑穴)을 그림을 그려서 설명하는 한편, 침을 통해서 병을 고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이상과 같이 사람의 모든 병증상을 5가지로 나누어서 항목에 따라 치료방법을 자세히 기록하고 치료 근거가 되는 여러 가지 문헌을 들었다. 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 전해지는 의서에 근거를 둔 기록만을 추린 것이 아니라, 병에 따라서는 민간에 전해지는 이른바 속방(俗方)의 치료방법과 편찬자가 스스로 경험한 비방까지 덧붙여 여러 가지로 참고가 된다.

의서로서 또 하나의 특색은 비슷한 병 중에서도 특별히 여러 사람들이 흔히 체험하는 병증세부터 다루되 손쉬운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한 데 있다. 가령 배앓이 환자들이 흔한데, 이런 환자들은 배앓이 치료를 설명한 조항을 찾아 읽으면 쉽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이렇듯 활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편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내용이 그 어떤 의서보다도 충실하다는 것이 세계적으로 인정되어, 권위있는 동양의학서로서 일찍부터 일본과 중국에 소개되었다.

이 책은 1613년 훈련도감에서 만든 목활자로 인쇄되었는데, 이때의 초판본 완질 25책은 남아 있지 않고, 뒤에 전주와 대구에서 목판본으로 출판된 것이 완전하게 전승되고 있다. 우리나라 책으로 이 책만큼 외국에서 거듭 출판된 것도 드문 일인데, 출판된 지 115년 뒤에 일본에서 완질이 출판된 것을 비롯해서 1763년 중국에서도 출판되었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모두 7번 출판을 거듭했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사실을 종합해볼 때 의서로서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귀중한 책이다.


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이제마의 대표적인 의학서이다. 4권 2책 목활자본이다. 책명에서 ‘동의’는 중국의 의가(醫家)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수세’는 온 세상 인류의 수명을 연장시킴을 뜻하는 것이다. ‘보원’은 만수(萬殊: 세상 모든 것은 여러 가지로 다름) 일원(一元)의 도(道)를 보전함을 뜻한다.
이제마는 책의 집필을 끝낸 다음 해 고향인 함흥에 돌아가서 의업(醫業)에 종사하였다. 1900년에 다시 성명론(性命論)부터 태음인론(太陰人論)까지 증책(增冊)하고 태양인(太陽人) 이하 삼론(三論)은 미처 끝내지 못하고 그 해 사망하였다.

東醫壽世保元

세칭(歲稱) 사상의학이라고 불리고 있는 것은 이제마가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하여 사단론(四端論)에서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장부성리(臟腑性理)를 처음으로 밝힌 것에서 연유한다.

『동의수세보원』은 1893년 계사년(癸巳年) 7월 13일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이듬해인 1894년 갑오년(甲午年) 4월 13일 지금의 서울 중구 필동에 소재하였던 이원긍(李源兢: 이능화의 부)의 집으로 추정되는 한남산중(漢南山中)에서 필서(畢書)를 하였다.

이 서책은 구본(舊本)이라 일컬어지며, 갑오본(甲午本)이라고도 한다. 필사본으로 추정되는데, 그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이때가 그의 세수 58세이고, 세명(世命)을 다하기 6년 전이다.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을 저술한 다음 해인, 1895년 을미년(乙未年)에 김기면(金基勉)의 여식(女息)인 적모(嫡母) 전주김씨의 병환으로 고향인 함흥으로 하향(下鄕)하였다. 경자년(庚子年)인 1900년까지 5년간 성명론부터 태음인까지 보태고 삭제하는 증책개초(增冊改草)를 하였고, 태양인 이하 3론(論)은 증책(增冊)을 하지 않았다.

이를 신본(新本) 또는 경자본(庚子本)이라 한다. 이 또한 필사본으로 추정되나 갑오본인 원본과 마찬가지로 후세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때가 그의 세명을 다하는 해로, 1900년 음력 9월 21일 오시(午時), 그의 문인으로 후에 율동계의 일원이 된 김영관의 집에서 졸명(卒命)하여 세상을 등진다. 이때 그의 세수는 64세이다.

구본인 갑오본과 신본인 경자본은 합본되어, 이제마 사후 다음 해가 되는 1901년 신축년(辛丑年) 6월에, 율동계를 조직한 그의 문도들인 김영관(金永寬)·한직연(韓稷淵)·송현수(宋賢秀)·한창연(韓昌淵)·최겸용(崔謙鏞)·위준혁(魏俊赫)·이섭항(李燮恒) 등 7인에 의해 이제마의 향리(鄕里)인 함흥에서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를 신축본(辛丑本) 또는 인본(印本)이라 하며, 활자화된 최초의 초간본(初刊本)이 된다. 이 초판본은 4권 2책으로 상·하가 각각 2권이다. 이 초간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상권 1책과 상·하권 2책이 장서각(藏書閣) 전적도서(典籍圖書)로 소장되어 있고, 서울대학교에 규장각 전적도서로 상권 1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초간본인 갑오본 『동의수세보원』은 한국에 1질(帙)만 남아 있는 셈이다. 장서각 소장본의 초간본 상권 2책을 각각 대조해 보면 대한광무오년신축육월(大韓光武五年辛丑六月)의 동일본이며, 또한 상권의 권지일(卷之一)인 성명론부터 장부론까지 동일하게 이토(吏吐)를 달아 놓았고, 상권의 권지이(卷之二)인 의원론 이후부터 하권의 권지일(卷之一)과 이(二)에는 이토가 없다.

또한 7판본이 되는 1941년 보원계에서 간행한 『동의수세보원』의 목록하의 비고에 “印本, 辛丑本 性命論 以下 原本吐, 醫源論 以下 今校懸吐而覽者恕焉”이라는 색인이 있는 것을 보아도, 초판본에는 출판 당시부터 성명론에서 장부론까지 현토를 달아 놓았음이 분명하다.

한편 1964년 북한의 의학출판사에서 간행한 『동의수세보원』도 제1권 의원론까지만 한글로 토를 달아 놓았다. 이로써 성명론에서 장부론까지 해토표기(解吐表記)는 초간본에 후학인이 가필한 것이 아니라, 초간본 발행 당시부터 표기를 하여 발행한 것으로 믿어진다.

초판본이 간행된 이후, 『동의수세보원』은 1911년(재판), 1913(3판), 1914년(4판), 1921(5판), 1936(6판), 1941년(7판)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목활자본과 연인본(鉛印本), 그리고 석인본(石印本)으로 거듭 출판되었다.

현재 서책으로 간행되어 있는 『동의수세보원』은 주로 1914년 서문을 상재(上梓)해 간행된 4판본과 1941년 상교현토(詳校懸吐)하여 간행된 7판본 계열의 판본이다. 판본별로 간행된 서책의 특색을 보면, 재판과 3판은 재간행의 성격이 짙고, 1914년 서울 소안동 보급서관 김용준 사장이 간행한 4판본은 한교연(韓敎淵)이 서문을 올려 출판을 하였고, 5판은 4판의 재간행이다.

중국 북경에서 뒤에 보원계의 일원이 된 한병무(韓秉武) 등에 의해 석인본으로 간행된 6판은 국외에서 출판되었다는 뜻이 있다. 7판본은 보원계가 1941년 간행한 것으로, 이 7판본에는 이제마의 수제자이면서 함흥에 있는 향교의 간부였고 보원계의 일원인 한두정(韓斗正)이 전문(全文)에 걸쳐 한자해자(漢字解字)와 해토자(解吐字)를 달고 보유방(補遺方)을 넣었다.

내용
『동의수세보원』의 구성은 성명론·사단론(四端論)·확충론(擴充論)·장부론(臟腑論)·의원론(醫源論)·소음인신수열표열병론(少陰人腎受熱表熱病論)·소음인위수한이한병론(少陰人胃受寒裏寒病論)·범론(泛論)·소양인비수한표한병론(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소양인위수열이열병론(少陽人胃受熱裏熱病論)·범론·태음인위완수한표한병론(太陰人胃腕受寒表寒病論)·태음인간수열이열병론(太陰人肝受熱裏熱病論)·태양인외감요척수병론(太陽人外感腰脊髓病論)·태양인내촉소장병론(太陽人內觸小臟病論)·광제설(廣濟說)·사상인변증론(四象人辯證論)의 17론 및 「사상방약 四象方藥」 등 전 4권으로 되어 있다.

그 가운데 의원론 이하 13론 중 광제설을 제외한 12론 및 사상방약은 임상연구의 핵심부분이고, 나머지 5론은 거의 관념적 이론에 해당된다. 즉 사상의학은 사상유형(四象類型)의 체질의학(體質醫學)이다. 그의 핵심이론인 사단론에서는 사람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 따라서 처방과 약의 선택이 달라진다.
즉 소음인 체질은 비소신대(脾小腎大), 소양인 체질은 비대신소(脾大腎小), 태음인 체질은 간대폐소(肝大肺小), 태양인 체질은 폐대간소(肺大肝小)라 하여, 실(實: 넘치다)은 사(瀉: 쏟아내다)하고, 허(虛: 부족하다)는 보(補: 보충하다)하는 방법으로 사람의 병을 고치는 설을 주창하였다.






*著書 :
新山詩빛 · 新山詩님 · 新山詩달 外 韓國靑少年文學集 1~8卷 · 新山中國詩 · 新山中國詞 · 新山李白詩 · 新山金笠詩 및
素月詩百 · 金笠詩百 · 新山中國宋詞 · 列聖御製 詩選 · 新山 渤海史考 · 新山天詩經 · 新山金笠詩 333 · 新山金笠詩 333 等.

*文學活動 ;
孫眞人養生錄 孫眞人曰 ; 天地之內以人爲貴頭圓象天足方象地天有四時人有四肢天有五行人有五藏天有六極人有六府天有八風人有八節天有九星人有九竅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