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 0 0 0 0 0 3년전 0

禪家龜鑑歷代禪詩集

선가귀감역대선시집 국역본

禪家龜鑑 歷代禪詩集 目錄 - 禪家龜鑑 - 歷代禪詩集 禪家龜鑑 目次 4 緖 序 5 ㅡ 6 1 跋文 7 ㅡ 8 2 全 文 9 ㅡ 21 ( 釋詳辨宗途, 臨濟宗家風, 曹洞宗家風, 雲門宗家風, 溈仰宗家風, 法眼宗家風, 別明臨濟宗旨, 三句 · 三要·三玄, 四料棟·四賓主·四照用,四大式·四八喝· 棒, 釋詳辨宗途後文 ) 3 ..
禪家龜鑑 歷代禪詩集
目錄 - 禪家龜鑑 - 歷代禪詩集
禪家龜鑑

目次 4

緖 序 5 ㅡ 6
1 跋文 7 ㅡ 8
2 全 文 9 ㅡ 21
( 釋詳辨宗途, 臨濟宗家風, 曹洞宗家風, 雲門宗家風,
溈仰宗家風, 法眼宗家風, 別明臨濟宗旨, 三句 · 三要·三玄, 四料棟·四賓主·四照用,四大式·四八喝· 棒, 釋詳辨宗途後文 )
3 禪家龜鑑 國文 22 ㅡ 125
4 禪家龜鑑諺解例 12 6 ㅡ 127
歷代禪詩集 128 ㅡ 713 .
禪家龜鑑 歷代禪詩集


禪家龜鑑



불교계가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이 서로 혼합되어 있어, 불교인들이 수행의 본질을 찾지 못하고 있을 때, 선문(禪門)은 견성법(見性法)을 전하고 교문(敎門)은 일심법(一心法)을 전하는 것임을 밝혀, 사람들로 하여금 괴로움에서 해탈하는 올바른 길을 밝히기 위해 저술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1564년 여름에 저술을 완료하였고, 금강산의 백화암(白華庵)에서 그 서문(序文)을 썼다. 그뒤 묘향산에서 10여 년 동안 이 글을 다듬고 손질하였으며, 1579년(선조 12) 그의 제자 유정(惟政)이 발문을 쓰고 이를 간행하였다.

이 책의 간본으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최근까지 이 책의 초간본은 1579년(선조 12)에 간행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1년에 이것보다 10년 정도 앞선 판본이 발견되어 학계에서 연구 검토 중이며, 1579년 간행본은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일본의 고마사와대학(駒澤大學)에 소장되어 있다. 그 뒤 이 책은 유점사(楡岾寺)·송광사(松廣寺)·용복사(龍腹寺) 등의 여러 사찰에서 간행되어 널리 읽혀지게 되었다.

유점사본은 1590년(선조 23)에 간행되었고, 송광사본은 1607년과 1618년(광해군 10)에 간행되었으며, 삭녕의 용복사본은 1633년(인조 11)에 간행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포되어 있는 것은 1731년(영조 7) 간행된 묘향산 보현사본(普賢寺本)으로 보현사에서는 여러 차례 이 책을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1604년(선조 37)에 경상도 화산(華山)의 원적사(圓寂寺)에서 개간한 것과 1649년(인조 27)에 양산 통도사에서 개간한 것이 있다.

국역본으로는 1610년(광해군 2) 전라도에서 개간한 것으로 송광사에 그 판이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도 이 책은 매우 중요시되어 1635년·1638년·1677년·1678년·1909년·1910년·1927년·1931년에 각각 간행하였다.


발문
이 발문은 여타 판본에는 있지 않고 1642년에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大興寺)에서 간행한 판본(국립도서관소장)에만 있다.

이 책은, 유정(惟政)·행주(行珠)·보정(寶晶) 등 세 분의 덕 있는 학승들 이 기쁘게 받고서 감사의 절을 올린 뒤 바로 선·교 양 종파에 알렸다. 어느 날 선·교의 학인 50여 명이 한 자리에 모여 문답을 나누었다.교학자-정(定)과 혜(慧)를 평등하게 공부하여 분명하게 불성을 깨닫는다고 하니 이 도리는 어떤 것인가?
선학자-선가에는 남에게 부림 받는 노비가 없다.교학자-보살은 중생의 고통을 관(觀)하고 자비심을 일으킨다고 하는데, 그 뜻은 무엇인가?
선학자-자(慈)는 이루어지는 부처가 있다는 견해를 가지지 않는 것이며, 비(悲)는 제도되는 중생이 있다는 견해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교학자-그러면 여래가 설한 법으로는 중생을 제도할 수 없는가?
선학자-만약 여래가 설한 것이 있다고 한다면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만약 여래가 설한 것이 없다고 한다면 이 또한 법을 비방하는 것이다. 진실한 부처는 입이 없기에 설법할 줄 모르고, 진실로 법을 듣는 자는 귀가 없거늘 그 누가 듣는 단 말인가?
교학자-그렇다면 대장경의 교설은 쓸모가 없는 것인가?
선학자-대장경의 교설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다. 예리한 근기를 가진 자는 사자와 같이 흙덩이를 던진 사람을 물지만, 둔한 근기를 가진 자는 한나라의 개처럼 흙덩이를 쫓는다. <『諸方門人參問語錄』>
교학자-믿고 이해하고 수행하고 증득하는 네 가지 수행의 단계가 분명히 있다.
이것이 어찌 등각(等覺)의 지위에서는 비추면서 고요하고 묘각(妙覺)의 지위에서는 고요히 비추어 번뇌를 보리로 바꾸고 생사를 열반으로 바꾸는 법도가 아니겠는가?
선학자-등각과 묘각은 목에 형틀을 찬 귀신이고, 보리와 열반은 나귀를 묶어두는 말뚝과 같으며, 이름과 구절을 실체로 오인하는 것은 똥 섞인 흙 덩이이고, 부처를 구하고 조사를 구하는 것은 지옥에 떨어질 업이다. <『臨濟語錄』>
교학자-부처나 조사는 또한 무엇인가?
선학자-부처는 허깨비와 같은 몸이고, 조사는 늙은 비구이다.
교학자-모든 현성(불보살)에게 어찌 진실한 견해와 증득한 경지가 없겠는가?
선학자-자기 눈을 어떻게 볼 것이며, 자기 마음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교학에서도 또한 ‘머리는 본래 그 자리에 붙어 있는데 스스로 얻었다거나 잃었다거나 하는 생각을 일으키며, 마음은 본래 평등한데 스스로 범부라거나 성인이라거나 하는 견해를 일으킨다’고 했으니 어찌 미친 듯 이 날뛰는 것이 아니겠는가 ! < 『楞嚴經』권4 >교학자-궁극적으로 그 이치가 무엇입니까?
선학자-자기 본분에는 본래 붙일 이름이 없지만, 방편으로 정법안장·열반묘심이라고 부른다. 다시 결정적인 한마디가 있는데, 다음 날로 넘기도록 하겠다.이렇게 선학자와 교학자 사이의 대론이 끝나자 각기 예배하고 자리에 앉았다. 서산이 “이번에 이루어진 문답 또한 선교석의 발문으로 삼을 만하다”라고 말한 뒤 사미 쌍익을 시켜 기록케 했으니, 그때가 만력 병술 년(1586) 동짓달 초순이었다. 만력 45년 정사년(1617) 봄에 전라도 광주 무등산 빙발암으로 옮겼다.

禪家龜鑑諺解
(선가귀감언해)
이 책은 조선 중기 이후 오늘날까지 선가(禪家)의 학습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책으로, 1569년(선조 2)에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에서 간행된 초간본이다.

이보다 앞서 휴정(休靜)이 유불도(儒彿道) 삼교(三敎)의 경전과 어록 중에 긴요한 것을 뽑아 『삼가귀감(三家龜鑑)』으로 1564년(명종 19)을 전후하여 저술하였는데, 이 책은 그 가운데 불교에 관한 것만을 뽑아 본문에 구결(口訣)을 달고 언해(諺解), 주해문(注解文), 평문(評文), 게송문(偈頌文)의 순서로 편차(編次)한 것이다.

편찬과 관련해서는 권말제(卷末題) 앞 쌍행에 “...古人初創之 後人編次之 今余譯書之...”라는 금화도인(金華道人)의 지어(識語)가 있어 역대 祖師(古人)가 남긴 50여 종의 경전과 어록을 休靜(後人)이 편찬하고, 제자인 義天(余)이 언해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권 말제 다음에 나오는데“隆慶三年己巳(1569)五月日 妙香山 普賢寺 開刊(융경3년 기사년인 1569년 5월 어느 날 묘향산에 있는 보현사에서 간행하다)”이라는 간기에 이어 책의 간행에 관여한 시주자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歷代禪詩集


불교가 海東에 전해 온 지 이천오백여년을 두고 부처님의 가르침은 일체만유(一切萬有)의 근본성품은 차별이 없는 불성자체(佛性自體)이며, 우리의 영원(永遠)한 본향(本鄕)이기도한 상락아정(常樂我淨)을 성취함에 있다.
이러한 불교 본연의 지도원리(指導原理)는 역대조사(歷代祖師)들에 의해 시공(時空)을 넘어 인류문화(人類文化)에 해탈열반의 행복을 안겨주고 있다.

歷代祖師들의 선시를 모아 봤다.

禪師들의 詩, 涅槃頌. 悟道頌 등 고려, 조선 시대 역대조사 선시를 ㄱ, ㄴ,ㄷ,ㄹ 순으로 편집코,

鏡峰禪師 부터 鏡虛惺牛 悟道頌, 涅槃頌 외 一朶紅, 黃眞伊, 李梅窓 絶命詩 등 妓女詩도 소개했고,

西山大師 선시 等 수록 돼 있다.





끝.



終.




禪敎釋 論
조선시대 휴정(西山)이 선교의 핵심 엮은 1586년 11월 刊 불교교리서. 1권 1책. 목판본. 선을 주로 하고 교를 종으로 하여 체계화한 불교의 교리서이다. 휴정은 선·교의 특징과 차이점을 들어 그 실천방안까지를 명시하며 불교는 선지(禪旨)가 으뜸이고 교문(敎門)은 이에 이르는 입문의 구실을 하는 방편임을 주장하고, 선·교가 둘이 아님을 역설하여 교학자(敎學者)를 설득하였으나 설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 교리서를 저술하게 된 것이다.
전반부에서는 휴정이 행주(行珠)·유정(惟政)·보정(寶晶) 등 세 제자에게 선문(禪門)의 최초구(最初句)를 밝히고, 선의 안목에 이르는 단계를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전국의 석학 50여 명이 모인 자리에서 교를 닦는 사람이 묻고 선을 닦는 사람이 답하는 식의 내용을 수록하였다. 정혜(定慧)와 견성(見性)에 대한 대담(對談)을 필두로, 결어(結語)에 이르기까지 8단계로 구분하였다.
① 선문의 최초구와 말후구(末后句)에 대한 설명, ② 밀부정법안장(密付正法眼藏)에 대한 설명, ③ 교외별전(敎外別傳)의 근원과 갈래에 대한 설명, ④ 가섭과 아난이 어떻게 교외별전을 알았는가 하는 데 대한 설명, ⑤ 원교(圓敎)의 성해해인(性海海印)과 선문의 정종밀인(正宗密印)에 대한 설명, ⑥ 돈교(頓敎)의 일념불생(一念不生)과 선문의 밀지(密旨)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어서 ⑦『변금록(辨金錄)』을 인용하여 『능가경』의 성종설(性宗說)에 대한 설명, ⑧『감소록(鑑昭錄)』을 인용하여 반야경제불종차경출설(般若經諸佛從此經出說)의 부당함에 대한 설명, ⑨『무염국사별집(無染國師別集)』을 인용하여 선과 교의 우열에 대한 설명, ⑩ 교종의 삼종기(三種機)와 별전의 일기(一機) 등을 설명하였다.
현존 간본(刊本)은 1586년(선조 19) 11월 상순의 기(記)가 있는 것과, 1670년(현종 11)의 통도사본, 1642년(인조 20)의 대흥사본이 있으며, 몇 종의 이판(異板)이 있고, 범어사판 『선문촬요(禪門撮要)』부록 및『청허당집』(4권본)에도 수록됐다.

崑崙山 : 大興寺, 1642.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